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해설자나 자막에서 "이 투수, 오늘도 홀드를 기록했습니다!"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으실 겁니다.
그런데 막상 “홀드가 뭐야?”라고 누가 물어보면… 선뜻 대답하기 어렵죠?
오늘은 야구 기록 중 하나인 ‘홀드(Hold)’의 정확한 의미와 조건, 승리투수·세이브와의 차이까지 한번에 정리해드릴게요!
✅ 홀드(Hold)의 뜻은?
홀드란, 계투(중간계투, 불펜) 투수가 리드를 유지한 채 다음 투수에게 경기를 넘겨준 경우에 기록되는 투수 개인 기록입니다.
즉, 선발도 아니고, 마무리도 아닌 중간 계투 투수의 ‘팀 승리를 지켜낸 활약’을 보여주는 지표예요.
⚾ 쉽게 말해:
"팀이 이기고 있을 때 올라와서 점수를 안 주고 내려가면 → 홀드!"
📋 홀드 조건 (기록 요건)
홀드를 기록하려면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선발투수가 아니어야 함
- 팀이 앞선 상황에서 등판
- 경기 도중 최소 1명 이상의 타자를 상대해야 함
- 리드를 지킨 채 다음 투수에게 넘김
- 승리투수나 세이브를 기록하지 않아야 함
❗ 실점해도 역전만 안 당하면 홀드 인정!
예: 3-1 리드 → 1점 실점해도 3-2라면 홀드 가능
🆚 홀드 vs 승리투수 vs 세이브 차이점
구분 | 기록대상 | 상황 | 의미 |
승리투수 | 선발 또는 구원 | 팀이 이기고 있을 때 마지막으로 리드를 잡은 투수 | 승리 기여 |
세이브 | 마무리 투수 | 3점차 이하 or 만루 등 | 리드 유지하고 경기 마무리 |
홀드 | 중간계투 | 리드 유지하며 다음 투수에게 넘김 | 승리 지킴 |
🔹 홀드는 중간다리 역할을 했다는 증표!
🔹 승리나 세이브보다 조명은 덜하지만 중요한 기록입니다.
💬 홀드가 중요한 이유
- 중간계투의 기여를 수치로 표현
- 팀 승리에 간접적으로 기여했음을 공식 인정
- 불펜 투수의 안정성 판단 지표로 활용
특히 일본이나 KBO리그에서는 세이브보다 홀드를 더 많이 기록한 투수도 많습니다.
승리나 세이브는 운도 따르지만, 홀드는 꾸준한 안정감이 필수이기 때문이죠.
📊 예시로 이해하기
- 7회초 3-1로 앞선 상황
- 중간계투 A가 7회를 무실점으로 막고 내려감
- 다음 투수 B가 8회, 마무리 C가 9회 마무리
👉 이 경우 A는 홀드 / B는 홀드 / C는 세이브 기록 가능
🧠 자주 묻는 질문
Q. 홀드는 1이닝을 꼭 던져야 하나요?
→ 아니요! 한 타자만 상대해도 조건 충족 시 홀드 기록됩니다.
Q. 실점하면 무조건 홀드 안 되나요?
→ 아닙니다! 리드를 지키면 홀드 가능
(예: 2점 리드 → 1점 실점 = OK)
Q. 홀드와 세이브를 동시에 기록할 수 있나요?
→ ❌ 불가능합니다.
홀드는 "중간투수" 전용 기록,
세이브는 "마무리투수" 전용 기록입니다.
📌 정리
✅ 홀드(Hold)란,
팀이 이기고 있을 때 등판한 중간 계투가 리드를 유지하며 다음 투수에게 넘기는 경우 기록되는 투수 기록
- 선발❌ / 마무리❌
- 중간 계투의 활약 지표
- 야구 기록에서 조용하지만 중요한 수치!
'스포츠 최신정보와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필드 플라이 룰이란? 야구 팬도 헷갈리는 규칙 완전 정복! (0) | 2025.04.17 |
---|---|
메이저리그(MLB)를 경험한 한국 선수들 (+코리안특급 박찬호 선수의 MLB 성적) (0) | 2025.04.17 |
야수선택이란? 야구 기록에서 안타도 실책도 아닌 이유! (0) | 2025.04.08 |
비 오는 날 야구 경기 중단 기준은? KBO 기준 총정리! (우천중단, 서스펜디드) (0) | 2025.04.08 |
득점권 vs 주자 1루 상황에서의 작전 선택, 어떻게 다를까? (0) | 2025.04.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