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를 보다 보면 타자가 삼진을 당했는데,
헬멧 벗고 덕아웃으로 안 가고 1루로 전력질주?!
이런 장면 한 번쯤 본 적 있으시죠?
그게 바로 야구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규칙,
"삼진 낫아웃(Dropped Third Strike)"입니다.
삼진 낫아웃이란 무엇인지,
어떤 상황에서 적용되는지,
헷갈릴 수 있는 포인트까지 정리해보았습니다.

🧠 삼진 낫아웃이란?
삼진을 당했지만, 포수가 공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면
타자가 아웃되지 않고 1루로 뛰는 규칙입니다.
심판은 삼진을 선언했지만, 타자가 1루로 전력질주하는 장면 = 삼진 낫아웃 상황!
적용 조건 (둘 다 충족해야 함)
- 스트라이크 3개 → 삼진 선언
- 포수가 3번째 스트라이크를 놓치거나 잡지 못할 경우
⚠️ 단, 1루 주자에 따라 적용 여부 달라짐!
주자 상황 | 적용 여부 |
1루 비어 있음 | ✅ 낫아웃 적용 → 타자 1루로 뛸 수 있음 |
1루에 주자 있음 + 0아웃/1아웃 | ❌ 낫아웃 적용 안 됨 |
1루에 주자 있음 + 2아웃 | ✅ 적용 가능 |
즉, 1루에 주자가 있으면 대부분 적용 안 되지만, 2아웃일 땐 예외!
🎬 실제 경기 예시
📍 2아웃, 1루 주자 있음.
타자가 헛스윙 삼진 → 포수가 공을 뒤로 흘림!
→ 타자는 1루로 전력질주 → 포수가 급히 1루 송구
→ 세잎이면 살아남고, 아웃이면 이닝 종료!
❓ 왜 이런 룰이 생겼을까?
과거에는 포수가 공을 놓쳐도 삼진이면 무조건 아웃이었지만,
공을 완전히 컨트롤 못 했을 경우 타자에게 1루 진루 기회를 주는 것이 더 공정하다고 판단해 생긴 규칙이에요.
자주 묻는 질문
Q. 낫아웃 상황에서 1루까지 뛰면 무조건 세잎인가요?
A. ❌ 아닙니다! 포수나 1루수가 공 잡아 1루 아웃 처리하면 그대로 아웃입니다.
Q. 낫아웃 때 주자도 뛸 수 있나요?
A. ✅ 네! 타자가 1루로 뛰는 사이 주자들도 진루 가능합니다. 도루처럼요.
Q. 포수가 공을 놓쳤는데 왜 심판이 아웃 선언 안 했죠?
A. 낫아웃 상황이라 바로 아웃 선언하지 않고, 수비 플레이를 기다리는 것입니다.
요약 정리
- 삼진 낫아웃은 타자가 삼진을 당했지만, 포수가 공을 제대로 못 잡았을 때 1루로 뛸 수 있는 규칙
- 1루 비어 있거나, 2아웃일 때만 적용
- 수비가 처리하면 아웃, 못 하면 세잎
'스포츠 최신정보와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 아웃 vs 태그 아웃 차이 비교! 야구 볼 때 꼭 알아야 할 핵심 규칙 (0) | 2025.04.18 |
---|---|
보크란 무엇인가? 야구 팬이라면 꼭 알아야 할 보크의 모든 것! (0) | 2025.04.18 |
인필드 플라이 룰이란? 야구 팬도 헷갈리는 규칙 완전 정복! (0) | 2025.04.17 |
메이저리그(MLB)를 경험한 한국 선수들 (+코리안특급 박찬호 선수의 MLB 성적) (1) | 2025.04.17 |
홀드란 무엇인가? 야구에서 ‘숨은 공신’ 중간계투의 기록! (0) | 2025.04.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