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최신정보와 이슈

삼진인데 왜 아웃이 아니지? “삼진 낫아웃” 완벽 정리!

by 해에게말해주고 2025. 4. 18.
반응형

야구를 보다 보면 타자가 삼진을 당했는데,
헬멧 벗고 덕아웃으로 안 가고 1루로 전력질주?!
이런 장면 한 번쯤 본 적 있으시죠?

 

그게 바로 야구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규칙,
"삼진 낫아웃(Dropped Third Strike)"입니다.

 

삼진 낫아웃이란 무엇인지,
어떤 상황에서 적용되는지,


헷갈릴 수 있는 포인트까지 정리해보았습니다. 

 

 


🧠 삼진 낫아웃이란?

삼진을 당했지만, 포수가 공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면
타자가 아웃되지 않고 1루로 뛰는 규칙
입니다.

심판은 삼진을 선언했지만, 타자가 1루로 전력질주하는 장면 = 삼진 낫아웃 상황!


적용 조건 (둘 다 충족해야 함)

  1. 스트라이크 3개 → 삼진 선언
  2. 포수가 3번째 스트라이크를 놓치거나 잡지 못할 경우

⚠️ 단, 1루 주자에 따라 적용 여부 달라짐!


주자 상황 적용 여부
1루 비어 있음 ✅ 낫아웃 적용 → 타자 1루로 뛸 수 있음
1루에 주자 있음 + 0아웃/1아웃 ❌ 낫아웃 적용 안 됨
1루에 주자 있음 + 2아웃 ✅ 적용 가능

즉, 1루에 주자가 있으면 대부분 적용 안 되지만, 2아웃일 땐 예외!


🎬 실제 경기 예시

📍 2아웃, 1루 주자 있음.


타자가 헛스윙 삼진 → 포수가 공을 뒤로 흘림!
→ 타자는 1루로 전력질주 → 포수가 급히 1루 송구
→ 세잎이면 살아남고, 아웃이면 이닝 종료!

 


❓ 왜 이런 룰이 생겼을까?

과거에는 포수가 공을 놓쳐도 삼진이면 무조건 아웃이었지만,
공을 완전히 컨트롤 못 했을 경우 타자에게 1루 진루 기회를 주는 것이 더 공정하다고 판단해 생긴 규칙이에요.


자주 묻는 질문

Q. 낫아웃 상황에서 1루까지 뛰면 무조건 세잎인가요?
A. ❌ 아닙니다! 포수나 1루수가 공 잡아 1루 아웃 처리하면 그대로 아웃입니다.

 

Q. 낫아웃 때 주자도 뛸 수 있나요?
A. ✅ 네! 타자가 1루로 뛰는 사이 주자들도 진루 가능합니다. 도루처럼요.

 

Q. 포수가 공을 놓쳤는데 왜 심판이 아웃 선언 안 했죠?
A. 낫아웃 상황이라 바로 아웃 선언하지 않고, 수비 플레이를 기다리는 것입니다.


요약 정리

  • 삼진 낫아웃은 타자가 삼진을 당했지만, 포수가 공을 제대로 못 잡았을 때 1루로 뛸 수 있는 규칙
  • 1루 비어 있거나, 2아웃일 때만 적용
  • 수비가 처리하면 아웃, 못 하면 세잎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