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최신정보와 이슈

지명타자 제도,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MLB·KBO·NPB 완전정리!

by 해에게말해주고 2025. 6. 16.
반응형

야구에서 지명타자 제도(DH, Designated Hitter 제도)는 다음과 같이 도입되었습니다.

 

 

 


⚾ 메이저리그(MLB)

  • 도입 시기: 1973년
  • 도입 리그: 아메리칸리그(AL)
  • 도입 이유: 투수 타격 실력이 낮고 경기 흥미 저하를 막기 위해
  • 내셔널리그(NL):
    • 처음에는 DH 제도를 사용하지 않음
    • 2022년부터 양 리그 모두 DH 제도 전면 도입

⚾ 한국프로야구(KBO)

  • 도입 시기: 1984년 (KBO 2년 차 시즌부터)
  • 도입 이유: 선수 보호 및 타격 중심 경기 유도
  • 지명타자 사용 여부:
    • 원정팀 요청에 따라 홈팀과 협의하에 결정 가능
    • 현재는 대부분의 경기에 지명타자 제도 사용 중

⚾ 일본프로야구(NPB)

  • 도입 시기: 1975년, 퍼시픽리그(Pacific League)만 도입
  • *센트럴리그(Central League)는 아직도 지명타자 제도를 도입하지 않고 있음

⚾ 지명타자 제도(DH) 도입 정리

 

1. 도입 배경


리그 도입연도 도입 이유
MLB (아메리칸리그) 1973년 투수 타격 능력 저조, 경기 흥미 저하 방지, 득점 증가 유도
KBO 1984년 선수 보호, 타격 중심 야구, 관중 흥미 유도
NPB (퍼시픽리그) 1975년 MLB 아메리칸리그 사례 참고, 경기력 향상 목적
 

2. 도입 후 변화

 

MLB (1973년 이후 아메리칸리그)

  • 평균 득점 상승:
    타순에서 투수가 빠지고, 강타자들이 대신 출전해 경기당 득점 증가
  • 선수 수명 연장:
    베테랑 타자(예: 데이빗 오티즈, 에드가 마르티네즈)들이 수비 없이도 출전 가능
  • 흥행 효과:
    홈런과 타격 중심 경기로 관중 증가

 

KBO (1984년 이후)

  • 관중 유입 증가: 타격 중심 경기로 팬들에게 재미 제공
  • 베테랑 혹은 외국인 타자의 활용 극대화
  • 타격 성적 상위권 대부분 DH 출신 많음

 

일본 NPB

  • 퍼시픽리그: DH 덕분에 경기 득점 증가 및 경기 시간 단축
  • 센트럴리그는 아직도 전통적 야구를 중시하며 DH 미도입 (보수적 입장 유지)
  • 최근엔 퍼시픽리그가 센트럴리그보다 성적 우세, 인터리그 및 일본시리즈 승률에서도 확인됨

3. 장단점 정리


항목 장점 단점
경기력 득점 증가, 경기 박진감 향상 수비 없이 타격만 하는 선수 존재로 전략 단순화
선수 운영 노장, 부상 선수 활용 가능 벤치 자원 활용 기회 감소
전술 다양성 공격에 집중 가능 희생번트, 더블 스위치 같은 전통적 전략 약화
팬 관점 홈런, 장타 중심 경기로 재미↑ 투수의 깜짝 타격 기회 사라짐
 

4. 논쟁과 변화

  • MLB 내셔널리그도 2022년부터 DH 전면 도입
    • 팬들의 찬반 논란 있었지만, 선수 부상 위험 줄이고 흥행 요소 강화

 

  • NPB 센트럴리그는 여전히 비도입 상태
    • “전통 보존” 대 “흥행과 전략 현대화” 사이에서 논쟁 지속

5. 대표적인 지명타자 선수

  • MLB : 데이빗 오티즈, 넬슨 크루즈, J.D. 마르티네즈
  • KBO : 이승엽, 박용택, 최형우, 추신수, 최준석
  • NPB : 나카무라 타케야 (퍼시픽리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