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결론부터 말하면, 경기 중 타순은 바꿀 수 없습니다.
야구 규칙상, 경기 시작 시 제출한 타순은 경기 종료까지 그대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감독이 원한다고 해서 임의로 타순을 변경할 수는 없습니다.
✅ 단, 교체 선수가 들어올 경우에는 원래 자리의 타순을 그대로 이어받아야 합니다.

🔍 왜 타순을 바꾸면 안 될까?
야구는 공정성과 전략의 스포츠입니다. 타순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면 특정 타자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고, 경기의 균형이 무너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타순은 심판에게 제출된 오더 라인업 기준으로 고정되며, 이 순서를 지키지 않으면 ‘타순위반(Batting Out of Order)’이라는 반칙이 적용됩니다.
🔄 교체는 가능하지만, 타순은 고정!
- ✅ 선수 교체 가능: 부상이나 전략에 따라 교체 가능
- ❌ 타순 변경 불가: 교체된 선수는 바로 전 선수가 있던 타순에 들어가야 함
예를 들어, 5번 타자가 빠지고 대타로 다른 선수가 들어오면
👉 그 대타는 5번 타순에 들어가야 합니다.
⚠ 타순위반 시 어떻게 되나요?
타순을 어기고 잘못된 타자가 타석에 들어서서 플레이하면, 상대팀이 항의할 경우 다음과 같은 조치가 이루어집니다.
- 이미 친 타자의 결과는 무효 처리
- 정해진 타순의 타자가 다시 나와야 함
- 경우에 따라 아웃 판정까지 받을 수 있음
👉 따라서 감독과 벤치는 항상 타순을 정확히 체크해야 합니다.
🎯 타순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 타자 순서를 일부러 바꾸면 어떻게 되나요?
A. 상대팀이 발견하여 심판에게 항의하면 타순위반이 선언되고, 규칙에 따라 처리됩니다.
Q. 경기 도중 전원 교체한 경우 타순도 리셋되나요?
A. 아니요. 처음 제출한 오더의 타순은 고정되며, 새 선수들은 그 타순을 그대로 이어받습니다.
정리하자면!
항목 | 가능여부 | 비고 |
타순 임의 변경 | ❌ 불가 | 경기 전 제출한 타순은 고정 |
타자 교체 | ✅ 가능 | 동일 타순에만 가능 |
타순위반 발생 시 | ❌ 위반 | 아웃 처리 가능 |
타순은 야구 전략의 핵심입니다.
타자를 자유롭게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교체를 잘 활용하면 경기 흐름을 바꿀 수 있습니다.
규칙을 이해하면 야구가 더 재미있어집니다!
반응형
'스포츠 최신정보와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명타자 제도,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MLB·KBO·NPB 완전정리! (0) | 2025.06.16 |
---|---|
필승조? 패전조? 추격조? 롱릴리프까지 한 번에 정리! (0) | 2025.06.16 |
1이닝은 어떻게 구성되나요? 야구 이닝 완전 정복! (0) | 2025.06.09 |
스트라이크와 볼의 기준, 한 번에 정리! (0) | 2025.06.09 |
OPS란? 야구에서 타자의 진짜 가치를 보여주는 지표! (1) | 2025.06.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