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최신정보와 이슈

선발투수와 불펜의 차이 & 투수 교체 타이밍 완전 정리!

by 해에게말해주고 2025. 4. 6.
반응형

“왜 선발투수를 갑자기 교체하지?”
“불펜은 어떤 투수가 맡는 거야?”
“투수 교체 타이밍은 누가 결정하지?”

 


선발투수와 불펜투수의 차이점을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더불어 투수 교체 타이밍에 대해서 얘기해보려고 하는데, 물론 투수 교체 타이밍에 정답은 없습니다. 당시에는 옳은 선택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결국에 야구는 결과론적인 스포츠이기 때문입니다. 잘막았으면 좋은선택, 못막았으면 나쁜선택이 되는것이죠.

 

그래도 보통 어떤 타이밍에 투수를 교체하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선발투수란?

“경기를 시작하는 투수, 팀의 버팀목”

**선발투수(Starting Pitcher)**는 말 그대로 1회부터 등판하는 투수입니다.
이닝을 오래 끌고 가는 역할을 하며, 팀 승리를 위해 5이닝 이상을 던지는 것이 보통 목표입니다.

 

🎯 선발투수 특징

  • 경기 시작부터 5~7이닝 이상 소화
  • 일정한 루틴: 보통 4~5일마다 등판
  • 체력 배분 + 구질 조합 전략 중시
  • 승리투수 조건(5이닝 이상 + 리드 유지)을 갖추는 핵심 투수

 


불펜투수란?

“위기의 순간, 짧고 강력하게! 중간에 등판하는 투수들”

 

불펜투수(Bullpen Pitcher)는 선발투수 이후,
중간이나 후반에 상황에 따라 등판하는 투수를 말합니다.

보통 1~2이닝을 전력투구하며, 상대 타자에 따라 맞춤 등판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불펜투수 세부 유형


역할 설명
롱릴리프 선발 조기강판 시 여러 이닝 소화
셋업맨 경기 후반 7~8회 리드 유지
마무리투수(클로저) 9회 등판해 경기 마무리
좌완/우완 스페셜리스트 특정 타자 상대로만 등판

 

 


선발과 불펜의 차이 정리


구분 선발투수 불펜투수
등판 시점 1회 시작 중·후반 이닝
투구 전략 긴 이닝을 위한 페이스 조절 짧고 강한 전력투구
투구 수 80~100개 10~30개
등판 주기 4~5일 간격 1~2일 간격
대표 역할 경기 운영과 안정 위기관리, 리드 유지, 마무리

투수 교체 타이밍은 언제?

 감독이 투수를 바꾸는 시점은 단순히 투수가 흔들릴 때만이 아닙니다.
여러 전략적 이유와 조건이 있는데요, 대표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투수 교체 타이밍 기준>

  1. 투구 수 과다: 선발투수 80~100구가 되면 체력 관리 차원에서 교체
  2. 실점 위기: 2루 이상 주자 누적 시
  3. 타자 타순: 같은 타자를 3번 이상 상대하면 불리해지기 때문에 교체
  4. 좌우 전략: 좌타자엔 좌투, 우타자엔 우투수로 바꾸는 전략적 교체
  5. 득점 상황 대비: 팀이 앞서고 있다면, 믿을 수 있는 셋업맨이나 마무리로 변경

실제 예시로 이해하기

📌 예시: 선발투수 A, 5회까지 2실점 → 6회 시작 전 투구 수 95구 → 감독 판단 후 교체
👉 롱릴리프 등판 → 8회 셋업맨 → 9회 마무리 → 팀 승리

 

이처럼 하나의 경기에서도 여러 투수가 등판하며 리드를 지키는 구조로 운영됩니다.


요약

항목 선발투수 불펜투수
역할 경기를 시작, 다수 이닝 소화 중간 등판, 짧은 이닝 소화
교체 시점 투구 수, 실점 위험 시 셋업/마무리 상황 또는 대타 대응
주요 포인트 체력, 안정성 상황 대응, 구위 집중

야구는 단순히 공을 던지고 치는 경기 같지만,
투수 운영과 교체 타이밍은 경기의 흐름을 바꾸는 핵심 요소입니다.

 

선발의 안정 + 불펜의 집중력이 어우러질 때
비로소 팀은 한 경기의 승리를 쟁취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