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야구를 처음 접하게 되고, 규칙을 알아갈때 많이 헷갈려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대표적인게 누가 승리투수가 되는것인지, 세이브는 어떤 상황에서 주어지는 것인지, 왜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내려왔는데 선발투수가 승리투수가 안되고, 크게 이기고 있을때 올라와서 경기를 끝냈는데 투수에게 세이브가 주어지지 않는지..라고 말 할 수 있을거 같은데요. 이문장에는 중요한 조건이 빠져있습니다. 어떤 조건일까요?
승리투수 조건과 세이브 조건의 차이점을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승리투수 조건 (Winning Pitcher)
야구에서 승리투수는, 경기에서 이긴 팀의 투수 중 승리 요건을 만족한 1명에게만 주어지는 기록입니다.
📌 선발투수의 조건
- 최소 5이닝 이상 투구해야 함
- 본인이 던지는 중에 팀이 리드를 잡고,
그 리드를 끝까지 유지해야만 승리를 인정받음
📌 예시: 선발투수가 5이닝 동안 2실점 → 6회에 팀이 역전 → 리드를 지킨 채 경기 종료 → 승리투수 기록!
📌 구원투수의 조건
- 선발이 5이닝 못 채우거나, 교체된 뒤 역전된 경우
- 리드를 잡는 순간 마운드에 있었던 투수에게 승 부여
단, 활약이 부족할 경우 공식기록원이 판단해 다른 투수에게 부여할 수 있습니다.
✅ 세이브 조건 (Save)
세이브는 경기 마지막에 등판한 투수가
팀의 리드를 지키고 경기를 마무리했을 때 주어지는 기록입니다.
📌 세이브 조건 (아래 중 하나 충족 시 인정)
- 3점 차 이하의 리드 상황에서 1이닝 이상 투구
- 위기 상황(동점 주자/만루 등)에서 등판 + 1이닝 이상 투구
- 3이닝 이상 마무리 투구 (점수 차 무관)
📌 예시: 5-3으로 앞선 9회, 마무리 투수가 무실점으로 마무리 → 세이브 인정!
🔍 승리투수 vs 세이브 비교표
구분 | 승리투수 | 세이브 |
기록 조건 | 팀이 이긴 경기에서, 리드 지킨 투수 | 팀 리드를 지키며 마지막에 마무리 |
선발 조건 | 5이닝 이상 투구 + 리드 유지 | 보통 없음 (주로 구원) |
구원 조건 | 리드 잡을 때 마운드에 있었던 투수 | ① 3점차 + 1이닝 ② 위기 상황 + 1이닝 ③ 3이닝 이상 투구 |
득점차 무관? | 무관 | 3이닝 이상 투구 시 무관 |
한 경기 | 승리투수 1명 | 세이브 1명만 가능 |
같이 알면 좋은 정보
- 승리투수는 여러 명이 자격 요건을 갖출 수 있어도 1명만 기록
- 세이브는 경기당 단 1명만 가능
- 홀드(리드를 유지한 상태로 마운드를 넘긴 중간투수 기록)는 세이브와는 또 다른 기록
요약
항목 | 승리투수 조건 | 세이브 조건 |
상황 | 팀이 이긴 경기 | 팀이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마무리 |
선발 기준 | 5이닝 이상 + 리드 | 없음 (세이브는 주로 마무리투수) |
구원 기준 | 리드 순간에 투수 교체 | 3점 이내 리드 or 위기 상황 or 3이닝 이상 |
기록 수 | 1명 | 1명 |
결론
승리투수와 세이브 조건은 비슷해 보이지만,
경기 상황, 등판 타이밍, 이닝 수, 리드 상황에 따라 결정되는 기록입니다.
야구 중계를 보며 투수가 어떤 기록을 남겼는지 이해하고 싶다면,
오늘 소개한 승리투수와 세이브 조건의 차이는 꼭 기억해두세요!
반응형
'스포츠 최신정보와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득점권 vs 주자 1루 상황에서의 작전 선택, 어떻게 다를까? (0) | 2025.04.08 |
---|---|
선발투수와 불펜의 차이 & 투수 교체 타이밍 완전 정리! (0) | 2025.04.06 |
희생번트와 희생플라이의 차이 (한눈에 정리하기!) (1) | 2025.04.06 |
투수가 던질 수 있는 최대 공의 갯수는? 과연 어디까지 가능할까? (1) | 2025.04.06 |
KBO 역대 1점대 이하 방어율을 기록했던 선수는? (1) | 2023.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