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MR Safety에 관련해서 글을 쓴 적이 있었던 것 같은데, MR을 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고, 꼭 알아둬야 할 상식이기 때문에 다시 한번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1. Static Field Dangers
- MR 장비 주변에는 강한 자기장이 발생하기 때문에, 달라붙는 성질은 가지고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극단적인 예이긴 하지만, 일반 bed의 경우 위의 사진과 같이 장비에 달라붙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엄청난 금점적인 손실을 입게 됩니다.
2. Patient Padding
- 환자는 절대로 Magnet bore나 Surface Coil과는 직접적으로 접촉하면 안 됩니다.
- 반드시 승인된 RF Padding을 사용해야 하며, 종이나 담요 등은 승인된 RF Padding이 아님을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3. MR 검사 전에 있는지 살펴봐야 할 목록
- Metal 성질을 띄는 물체 - 가위, 볼펜, 카드, 자동차 키 등
- Implant
- Aneurysm 클립
- Catheters
- Pacemakers와 Pacing Wires
- 환자 개인 소지품
- 임신여부
4. Implant
- 언제 시술 및 시행을 했는지 시기를 파악합니다.
- 1.5T 장비에서는 안전할 수 있어도, 3.0T 장비에서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검사자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 Bone Growth stimulators
- Drug Infusion pump
- cochlear implant - 달팽이관
- dental implant - 틀니 등
5. Aneurysm Clip
- 낮은 자장의 장비에서는 안전할 수도 있습니다.
- 하지만, 높은 자장의 장비에서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 Cliip의 Type이나 재질이 무엇인지 중요합니다.
- 검사직전 환자에게 꼭 수술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해당 수술을 받은 환자가 먼저 이야기해 주는 것도 위험을 피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수술을 했을 경우에는 반드시, 영상의학과 과장님이 진료를 보는 과의 원장님께 확인을 받아야 합니다.
6. 검사자(방사선사)의 환자 모니터링
검사 중에 불편함이 심하여 검사가 어려울 때를 대비해서, 반드시 검사 전에 힘들면 손이나 발을 들어 의사표시를 하라고 이야기를 해줍니다. 정상적인 컨디션을 갖고 있지 않은 환자의 검사를 진행할 때는 평소보다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특별히 더 신경 써야 합니다.
- 기본적으로 모든 환자는 음성이나 화면을 통해서 모니터가 이루어지고 있어야 합니다.
-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는 환자들의 움직임은 더 면밀히 관찰합니다.
- 목소리가 작은 환자가 있을 경우, 모니터로 환자의 입모양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 마취를 하고 검사를 진행하는 환자의 호흡은 괜찮은지 모니터링합니다.
- 조영제 영향을 받을 확률이 있는 환자의 검사 시 주의를 기울입니다.
-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도 신경을 쓰도록 합니다.
7. MRI Magnet Quench
초전도 마그넷은 온도를 낮추는 냉매제를 사용하여 Magnet field를 형성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냉매제는 주로 액체헬륨을 사용하며, 시스템에 따라서는 액체 니트로젠이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1) Quench란?
- 초전도 마그넷의 온도를 낮추는 냉매제들이 급속도로 사라지는 현상입니다.
- venting system이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합니다.
- Bore 중간에서 자장의 세기가 2분 이내로 200 gauss까지 떨어집니다.
- Fringe Field가 몇 분 동안 약간 더 넓어질 수 있습니다.
- 시끄러운 소리를 동반하며, 경고 메시지가 뜹니다.
- 완전히 Quench가 일어나기 전에 Scan을 하게 되면, Image에 문제가 생겨서 나타납니다.
- Quench가 발생하면 환자와 검사자는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대피해야 합니다.
- 문제 발생시 즉시 장비를 담당하고 있는 엔지니어에게 연락해서 조치를 취하도록 합니다.
https://youtu.be/R2XTYVF7uxI?si=-DlGwzqYLFcc8HIf
'방사선학.Radi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Brain MR 검사목적과 검사방법 (0) | 2024.03.04 |
---|---|
MRI 스캔 하기전에 알아야 할 기본규칙 (feat. GE장비) (0) | 2024.03.01 |
Humerus 방사선 검사 및 해부학 정리 (0) | 2024.02.29 |
ELBOW(팔꿈치) 방사선 검사 및 특징 (0) | 2024.02.17 |
일자거북목증후군이란? (+주요원인, 증상, 진단방법, 치료) (1) | 2024.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