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R장비를 운용하는 방사선사들 중에서, 경험이 풍부한 사람은 정상적이지 않은 상황을 맞이했을 때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MR장비는 GE, 지멘스, 필립스, 도시바 등 다양한 회사의 제품이 존재합니다.
스캔을 하기 전 알아야 할 기본규칙들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GE장비 매뉴얼 참고)
1. FAT Suppression 검사를 하고자 하는 경우
- 장비에 따라서 FAT 또는 FAT Classic 버튼을 누르면 바로 FAT Suppression을 할 수 있습니다.
- T2 FAT Suppression을 할 경우 기존 사용하는 Series에서 FAT 혹은 FAT Classic 버튼을 누르면 바로 FAT Suppression이 가능하나 SNR이 감소하기 때문에 이를 향상하기 위해 기존 Series보다 matrix를 조금 더 낮춰서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Phase matrix의 감소로 scan time이 줄어들기 때문에 NEX를 좀 더 높여주면 도움이 됩니다.
- STIR 기법을 사용하여 FAT Suppression을 하면,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FAT Suppression이 잘 되지 않는 부위까지 완벽하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TR이 길기 때문에 조영제 검사를 할 수 없습니다.
2. 평상시 검사하는 방법대로 검사를 하는데 갑자기 한 시리즈의 Scan Time이 두 배로 늘어나는 경우
-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는 Maximum Slice의 개수가 초과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 Acquisition에 얻을 수 있는 Slice의 개수가 19개고 검사하고자 하는 Slice의 개수가 20개일 경우 발생합니다.
- 이런 경우에는 TR을 증가시키거나 ETL 개수를 조절해야 합니다.
3. AutoScan을 눌러 놓았는데 중간에 Auto Scan이 풀리는 경우
- 조영제를 사용하게 되는 검사 중 Contrast 항목이 선택되어져 있는 경우는 Auto Scan이 풀리게 됩니다.
- Move to Scan 버튼에 불이 들어와 있는데 안 누르고 가만히 있는 경우 Scan이 안되며, AutoScan도 풀리게 됩니다.
- 소프트웨어 에러로 간혹 AutoScan이 풀리기도 합니다.
4. 3-Plane Local Scan을 했는데, 일부분은 영상이 나오고 일부분은 영상이 나오지 않을 경우
- patient Postion이 Supine인지 Prone인지 확인합니다.
- patient Entry가 haed first인지 feet First인지 확인합니다.
- Coil 구성을 확인해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L-spine의 경우 CTL456번을 사용하게 되는데, 코일 구성이 CTL123으로 되어 있으면 영상이 제대로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검사하고자 하는 검사 부위와 Coil이 제대로 위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shoulder, elbow 혹은 wrist등의 검사할 때, 일부분만 영상이 나오게 되면 FOV를 좀 더 크게 해서 검사를 하든지 Scan range에서 범위가 right 쪽인지 left 쪽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5. 3-Plane Local Scan을 하는데 Scan 자체가 안 되는 경우
- Coil이 Coil Connector에 제대로 접촉이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 Coil 구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실제 Coil Connctor에 접촉되어 있는 Coil과 동일한 것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3inch dual coil을 두 개를 사용한 경우 한쪽 코일이 빠져 있을 수 있으므로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 Error Message창을 확인해보시고 RF Amp Error가 display 되면, 바로 담당 엔지니어에게 연락해야 합니다.
6. 최적화된 TE, TR, ETL
- 각 부위에 따라 사용하게 되는 TE, TR, ETL은 다릅니다.
- Scan time을 줄이기 위해서 무작정 TR을 줄이거나 늘리고, ETL을 늘리거나 줄여서 사용하면 검사를 하여 보고자 하는 Effect가 제대로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 T2영상에서 TE값이 증가되면 될수록 이미지가 조금씩 어두워집니다.
TE | TR | ETL | |
T1 | minFull | 400~700ms | 2~4 |
PD | 25~45 | 1500 ms이상 | 5~10 |
T2 | 70~130 | 2500 ms이상 | 10 이상 |
7. 검사한 영상이 흐릿하게 나올때
- 검사한 영상의 Pulse Sequence를 확인하고, FSE 계열이라면 ETL을 기존에 사용하는 것보다 좀 더 낮추어 사용해 봅니다.
- NEX 값을 확인하고, NEX값을 좀 더 높여 줍니다. NEX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scan time은 증가하게 됩니다.
8. Auto injector가 필요한 경우
- PWI & Extremity Angio Study를 할 경우 필요합니다.
- 간호사가 조영제를 주입하게 될 경우에 PWI에서 나와야 하는 중요한 Graph가 잘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Extremity Angio에서 복부 쪽 검사를 위해서 처음에는 조영제를 빨리 주입해야 하나, 다리 쪽 혈관 검사를 위해서는 복부 검사에 비해서 좀 더 느린 속도로 주입해야 하기 때문에 조영제를 주입하는 간호사에 따라 영상이 같은 환자지만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9. Save 버튼을 눌러야 하는데 눌려지지 않을 때
- Freq DIR에서 빈칸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 Graphic Rx에 들어가서 검사하고자 하는 plan이 있는지 확인하고, 없으면 plan을 잡아줘야 합니다.
- TE, TR, NEX, BW 등 여러 가지 parameter가 빈칸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빈칸일 경우에는 각 조건에 맞게 parameter를 입력해야 합니다.
10. calibration 스캔
- Calibration scan은 항상 맨 마지막에 검사한 경우에서만 적용이 가능합니다.
- 처음에는 코일 자체에서 calibration scan을 하여 reference image를 얻고, 다시 body coil을 통해서 calibration을 하여 reference image를 얻습니다.
- ASSET이나 PURE을 사용할 때에는 Calibration 스캔을 하여 reference image를 얻어야 합니다.
반응형
'방사선학.Radi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oulder MR 검사목적과 검사방법 (0) | 2024.03.05 |
---|---|
Brain MR 검사목적과 검사방법 (0) | 2024.03.04 |
MR Safety - MR 기초 이해하기 (Quench 현상이란?) (0) | 2024.03.01 |
Humerus 방사선 검사 및 해부학 정리 (0) | 2024.02.29 |
ELBOW(팔꿈치) 방사선 검사 및 특징 (0) | 2024.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