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12 홀드란 무엇인가? 야구에서 ‘숨은 공신’ 중간계투의 기록! 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해설자나 자막에서 "이 투수, 오늘도 홀드를 기록했습니다!"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으실 겁니다. 그런데 막상 “홀드가 뭐야?”라고 누가 물어보면… 선뜻 대답하기 어렵죠? 오늘은 야구 기록 중 하나인 ‘홀드(Hold)’의 정확한 의미와 조건, 승리투수·세이브와의 차이까지 한번에 정리해드릴게요! ✅ 홀드(Hold)의 뜻은?홀드란, 계투(중간계투, 불펜) 투수가 리드를 유지한 채 다음 투수에게 경기를 넘겨준 경우에 기록되는 투수 개인 기록입니다. 즉, 선발도 아니고, 마무리도 아닌 중간 계투 투수의 ‘팀 승리를 지켜낸 활약’을 보여주는 지표예요.⚾ 쉽게 말해:"팀이 이기고 있을 때 올라와서 점수를 안 주고 내려가면 → 홀드!"📋 홀드 조건 (기록 요건)홀드를 기록하려면 아래 조건을 모.. 2025. 4. 8. 야수선택이란? 야구 기록에서 안타도 실책도 아닌 이유! 야구를 보다 보면 "야수선택(Fielder’s Choice)"이라는 용어가 종종 등장합니다. 안타도 아니고, 실책도 아닌 상황에서 타자가 1루에 살아나면 도대체 이건 뭐지? 싶은 순간이 있죠. 오늘은 야구 기록 중 헷갈리기 쉬운 ‘야수선택’의 개념, 기준, 예시, 그리고 안타나 실책과의 차이점까지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야수선택(Fielder’s Choice)이란?야수선택이란, 수비수가 타자를 아웃시키는 대신 다른 주자를 아웃시키려고 선택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기록입니다.즉, 타자가 1루에 살아남았더라도 수비수의 전략적 선택에 의해 안타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를 말해요.✅ 간단 정의:야수가 더 유리한 주자 아웃을 시도하면서 타자가 살아남은 경우🧾 야수선택의 대표적인 예시 📌 상황1사 1루타자가 땅.. 2025. 4. 8. 비 오는 날 야구 경기 중단 기준은? KBO 기준 총정리! (우천중단, 서스펜디드) “비 오는 날 야구 경기는 언제 중단될까?” 2024 KBO 한국시리즈, 기아 대 삼성의 1차전이 열리던 날. 폭우 속에서 경기가 진행되었고, 삼성이 1:0으로 근소하게 앞서가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원태인은 선수는 소위 긁히는 날로, 기아 타자들이 제대로 공략하지 못하는 상황이었죠. 반면 네일 선수는 안면 부상 이후 처음으로 등판한 경기라, 짧은 이닝만 던지고, 중간계투에게 마운드를 넘겨주었습니다. 기아의 위기가 계속되고, 추가실점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비는 더욱 거세게 내렸고, 심판은 서스펜디드 경기를 선언하였습니다.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경기 취소와 서스펜디드는 어떻게 선언되는 것일까? 특히 한국 프로야구(KBO 리그)에서는 날씨가 경기 진행 여부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우천으로 인한 경기.. 2025. 4. 8. 득점권 vs 주자 1루 상황에서의 작전 선택, 어떻게 다를까? 야구는 단순한 타격과 수비만의 스포츠가 아닙니다. 점수를 내기 위한 정교한 작전 싸움이 경기를 좌우하죠. 특히 주자 1루와 득점권(2루, 3루) 상황에서 어떤 작전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승패가 갈리기도 합니다. 득점권 vs 주자 1루 작전 선택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자 1루 상황: 진루와 기회 창출이 핵심! 주자가 1루에 있을 경우, 팀은 보통 득점권으로 주자를 보내기 위한 진루 작전에 집중합니다. ✔ 대표적인 작전들희생번트타자가 번트를 대서 주자를 2루로 보내는 전략. 무사 상황일 때 특히 많이 사용됩니다.도루발 빠른 주자가 직접 2루 도루를 시도. 투수와 포수의 견제 능력을 고려한 판단이 필요합니다.히트 앤 런타자가 칠 타이밍에 맞춰 주자가 뛰는 작전. 안타가 나오면 주자는 3루 또는 홈까지.. 2025. 4. 8. 선발투수와 불펜의 차이 & 투수 교체 타이밍 완전 정리! “왜 선발투수를 갑자기 교체하지?”“불펜은 어떤 투수가 맡는 거야?”“투수 교체 타이밍은 누가 결정하지?” 선발투수와 불펜투수의 차이점을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더불어 투수 교체 타이밍에 대해서 얘기해보려고 하는데, 물론 투수 교체 타이밍에 정답은 없습니다. 당시에는 옳은 선택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결국에 야구는 결과론적인 스포츠이기 때문입니다. 잘막았으면 좋은선택, 못막았으면 나쁜선택이 되는것이죠. 그래도 보통 어떤 타이밍에 투수를 교체하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선발투수란?“경기를 시작하는 투수, 팀의 버팀목”**선발투수(Starting Pitcher)**는 말 그대로 1회부터 등판하는 투수입니다.이닝을 오래 끌고 가는 역할을 하며, 팀 승리를 위해 5이닝 이상을 던지는 것이 보통 목표입니다. .. 2025. 4. 6. 승리투수 조건과 세이브 조건 완벽 정리! 야구기록 쉽게 이해하기 야구를 처음 접하게 되고, 규칙을 알아갈때 많이 헷갈려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대표적인게 누가 승리투수가 되는것인지, 세이브는 어떤 상황에서 주어지는 것인지, 왜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내려왔는데 선발투수가 승리투수가 안되고, 크게 이기고 있을때 올라와서 경기를 끝냈는데 투수에게 세이브가 주어지지 않는지..라고 말 할 수 있을거 같은데요. 이문장에는 중요한 조건이 빠져있습니다. 어떤 조건일까요? 승리투수 조건과 세이브 조건의 차이점을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승리투수 조건 (Winning Pitcher)야구에서 승리투수는, 경기에서 이긴 팀의 투수 중 승리 요건을 만족한 1명에게만 주어지는 기록입니다. 📌 선발투수의 조건최소 5이닝 이상 투구해야 함본인이 던지는 중에 팀이 리드를 잡고,그 .. 2025. 4. 6. 희생번트와 희생플라이의 차이 (한눈에 정리하기!) 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해설자가 자주 하는 말, “희생번트입니다.” “희생플라이로 1점을 추가합니다.”이 말을 들으며 “둘 다 아웃인데, 뭐가 다른 거지?” 하고 궁금하셨죠? 오늘은 ‘희생번트 vs 희생플라이의 차이점’에 대해 정리를 한번 해보았습니다. 희생번트란?희생번트(Sacrifice Bunt)는 타자가 의도적으로 번트를 해서 자신은 아웃되더라도 주자를 진루시키는 작전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사용합니다.무사 또는 1사에 1루 또는 2루에 주자가 있을 때주자를 **득점권(2루/3루)**으로 보내기 위해 사용접전 상황, 초반 흐름 잡기, 승부처에서 1점이 중요한 순간에 자주 등장합니다. 특징타자는 아웃되지만 희생으로 인정, 타율에 영향 없음타점은 인정되지 않음희생플라이란?희생플라이(Sacrifice .. 2025. 4. 6. 투수가 던질 수 있는 최대 공의 갯수는? 과연 어디까지 가능할까? 야구를 보다 보면 이런 생각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저 투수는 도대체 몇 개까지 던질 수 있는 거지?”현대야구는 예전보다 분업화가 되면서, 선발과 중간계투, 마무리의 역할분담이 명확하게 나뉘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90년대 야구때만 해도 이러한 분업화는 형성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선발을 하다가 마무리 투수로 나와서 던지고, 팀이 이기고 있을때 1이닝만 던지고 세이브를 올리는게 아니라, 6~7회부터 나와서 3이닝 이상을 던지며 세이브를 기록하는 투수들도 많았습니다. 그만큼 믿을만한 투수였을수도 있었겠지만, 선수보호차원에서 봤을때는 그리 좋지 못한 환경이었던것이죠. 퍼펙트 게임대결을 원한 세상 속으로 꿈을 던진 두 남자, 최동원 선동열의 고독하고도 치열한 맞대결!! 불안과 격동의 1980년대, 프로야.. 2025. 4. 6. 이전 1 2 3 4 ··· 14 다음 반응형